서 론
담수어의 분포를 밝히는 일은 이들 어류의 지리적 구 계 설정, 이동 경로, 진화, 생태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 요하다. 달천강은 한강 수계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며 낙동강 및 금강과 인접하여 있으므로 어류상의 지리적 분포의 연구에 중요한 지역이다. 현재까지 달천강의 어 류상에 대해서는 일부 지역 및 지류에 대하여 제한적으 로 조사되었을 뿐이며(崔, 1977; 崔와 田, 1978; 정과 김, 1980; 孫, 1985; 田, 1990; 洪, 1991), 체계적인 어류상의 조사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 없다. 더욱이 최근에는 하천 의 오염이나 하천의 개수, 골재 채취, 댐이나 보의 축조, 지하수의 과다 사용에 따른 하천 유지수의 고갈 등으로 어류 서식처의 교란과 파괴가 심화되고 있어서, 더 이상 의 훼손이 일어나기 전에 정확한 어류상을 파악하는 것 이 필요한 상황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달천 강에서 출현하는 어류의 현황, 미세 분포, 군집 구조 등 을 밝힘으로써, 생태계의 변화 양상과 종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 및 방법
1. 조사 기간 및 정점
조사는 1996년 4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조사 정점은 Fig. 1과 같이 30개 정점을 선정하였으며, 그 행정 지명은 아래와 같다.
-
St. 1: 충북 청원군 낭성면 이목리(효성내, 인경천)
-
St. 2: 충북 청원군 미원면 내산리(미원천)
-
St. 3: 충북 청원군 미원면 운암리(달천강 상류)
-
St. 4: 충북 괴산군 청천면 신월리(신월천)
-
St. 5: 충북 괴산군 청천면 청천리(달천강 상류)
-
St. 6: 충북 괴산군 청천면 금평리(괴곡천)
-
St. 7: 충북 괴산군 청원면 송면리(화양천)
-
St. 8: 충북 괴산군 청원면 덕평리(달천강 중류)
-
St. 9: 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신풍마을(쌍천)
-
St. 10: 충북 괴산군 연풍면 적석리(쌍천)
-
St. 11: 충북 괴산군 장연면 송덕리 송덕교 상류(쌍천)
-
St. 12: 충북 괴산군 장연면 쌍곡리(쌍천)
-
St. 13: 충북 괴산군 문광면 송평리(괴산천)
-
St. 14: 충북 괴산군 소수면 아성리(괴산천)
-
St. 15: 충북 괴산군 괴산읍 대덕리(달천강 본류)
-
St. 16: 충북 괴산군 감물면 매전리 도전(안민천)
-
St. 17: 충북 괴산군 감물면 광전리 광지실(안민천)
-
St. 18: 충북 음성군 불정면 목도리(달천강 본류)
-
St. 19: 충북 음성군 소이면 문등리(음성천)
-
St. 20: 충북 음성군 불정면 창산리(음성천)
-
St. 21: 충북 충주시 상모면 사문리 석문교(석문동천)
-
St. 22: 충북 충주시 상모면 화천리 은행정(석문동천)
-
St. 23: 충북 충주시 상모면 중산리 중산저수지(석문동천)
-
St. 24: 충북 충주시 상모면 수회리 수회교(석문동천)
-
St. 25: 충북 괴산군 장연면 오가리 오가저수지 하류 (오가천)
-
St. 26: 충북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 추점교(오가천)
-
St. 27: 충북 충주시 상모면 토계리 토계교(석문동천)
-
St. 28: 충북 충주시 살미면 향산리 향산교
-
St. 29: 충북 충주시 단월동 단월교(달천강 하류)
-
St. 30: 충북 충주시 호암동 호암교(충주천)
2. 조사 방법
하천의 크기, 구조, 수질 등 서식 환경에 대한 조사 항 목은 조사 지역에 인접한 교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교량 이나 보가 없는 곳은 여울에서 조사 및 측정을 실시하 였으며, 수온, 용존산소량, pH는 portable meter, 유량은 current meter (UC-2, Tamayad Co.)로 현장에서 측정하 였다. 하천의 형태 구분은 可兒(1944)에 의거하였다.
채집은 각 정점의 300 m 범위내에서 투망(망목 7×7 mm), 반두(망목 5×5 mm) 및 유인어망(망목 1×1 mm)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어류상의 확인을 위 하여 수면 위에서의 관찰 및 다른 사람의 어획물도 관 찰하여 포함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현지에서 확인 후에 방류하였으며, 일부 개체는 10%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 정하여 정확한 종 동정에 활용하였다. 동정에는 鄭 (1977), Steyskal (1980), 田(1980, 1983), 崔等(1990), 金(1997), 그리고 Nalbant (1993)를 참고하였다.
科의 분류 체계는 Nelson (1994)에 따라 분류 배열하 였다.
개체수는 각 조사지점에서 채집된 총개체수로서 나타 내었다. 상대풍부도(relative abundance)는 각 종의 개체 수/총개체수(%), 항존도(Constancy)는 각 종이 출현한 지점수/총 조사지점수(%)로 나타내었다. 어류의 군집분 석에는 종다양도, 우점도, 균등도, 그리고 군집유사도를 구하였다. 종다양도는 Shannon diversity index, 우점도 는 Simpson's index, 균등도는 Pielou evenness index, 그 리고 군집유사도는 Horn's index에 따라 산출하였다 (Brower and Zar, 1977;Wratten and Fry, 1980).
결과 및 고찰
1. 조사 지역의 환경
달천강은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에 위치한 속리산 의 천왕봉(1057.7 m)에서 발원하여 청원군, 괴산군, 그리 고 충주시를 지나서 남한강에 유입되며, 유로 연장은 124.7 km이다. 달천강의 동쪽으로는 소백 산맥이 뻗어 있는데, 이 산맥은 속리산(1,058 m), 백악산(858.0 m), 청 화산(970 m), 백화산(1,063.5 m), 조령산(1,017 m) 등으로 이어지는 준령에 의하여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을 이 룬다. 한편 달천강의 서쪽으로는 노령 산맥이 뻗어 있는 데, 이 산맥은 충북 음성군의 부용산(644.4 m)에서 보광 산(531 m), 칠보산(540 m), 좌구산(657.4 m) 등으로 이어 지는 낮은 산에 의하여 한강과 금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이와 같이 달천강의 서쪽은 해발고도가 낮으나 동쪽은 높으며, 강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달천강으로 유 입되는 중요 지류 하천으로는 동쪽의 소백 산맥에서 발 원하는 신월천, 화양천, 쌍천, 안민천, 석문동천 등과, 서 쪽의 노령 산맥에서 발원하는 미원천, 괴곡천, 괴산천, 음 성천 등이 있다.
조사 지역의 하천 상태는 Table 1과 같았다. 조사 지 역은 용존산소량 8.0~12.3 mg/l, pH 6.4~6.9이었다. 달 천강 본류의 상류역인 St. 3과 5는 유폭이 7~50m이며 유량이 풍부하였고, 하상형은 Aa 및 Aa-Bb 이행형이었 으며, 거력, 왕자갈 그리고 자갈이 많았다. 중류역에 해당 하는 St. 8과 15는 유폭이 25~100 m이며, 하상형은 Aa-Bb 이행형 및 Bb형이었다. 하류역인 St. 18과 29는 유폭이 90~160m로서 넓고 유량이 많았으며 하상형은 Bb형이었고, 왕자갈과 자갈이 많았다. 이 곳 중하류에는 행락인파가 많이 모여 수색이 다소 탁하였다.
소백 산맥에서 발원되는 지류 하천의 중상류는 경사 가 급하고 돌이 많다. 특히 상류인 St. 4, 7, 9, 11, 16, 21, 23은 유폭이 1~20m로서 좁고, 경사가 심하고, 유량이 적었으며, 하상형은 Aa형이었고, 거력이 특히 많고, 바위 도 많았다. 수색이 맑고 청정하였다.
2. 출현종과 종조성
달천강의 전 조사 지점에서 채집 또는 관찰된 어류는 10과 31속 46종이었다. 이 가운데 잉어과(Cyprinidae) 어류는 17속 28종으로서 전체 채집된 어종의 60.9%를 차지하였으며, 미꾸리과(Cobitidae)는 4속 6종이 출현하 여 13.0%를 차지하였다. 그 외에 동자개과(Bagridae) 3 종, 메기과(Siluridae)와 꺽지과(Centropomidae)가 각각 2종, 퉁가리과(Amblycipitidae), 바다빙어과(Osmeridae), 검정우럭과 (Centrachidae), 동사리과 (Odontobutidae), 그리고 망둑어과 (Gobiidae)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Table 2). 잉어과와 기름종개과 어류가 구성종의 대부분 을 차지하는 이와 같은 어류상은 동아시아 담수어류상 의 특징과 잘 일치하며, 한반도의 서한아지역과 남한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田, 1980).
각 종별로 출현하는 지점의 수(항존도)를 비교해 보 면 Z. platypus는 30개 조사지점 중 23지점(76.7%), C. auratus는 22지점(73.3%)에서 출현하여 전체 어종 중 높은 항존도를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 I. koreensis는 20지점 (66.7%), P. herzi, P. esocinus, M. oxycephalus의 3종은 19지점 (63.3%), M. yaluensis와 O. interrupta는 17지점(56.7%), M. anguillicaudatus가 15지점(50.0%)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R. uyekii와 M. salmoides 는 St. 19, C. carpio nudus와 M. longidorsalis는 St. 5와 12, R. notatus, G. strigatus 그리고 S. chankaensis tsuchigae는 St. 20, M. mizolepis는 St. 12, P. fulvidraco 는 St. 25, L. ussuriensis는 St. 29, S. microdorsalis는 St. 21, 그리고 H. olidus는 St. 23에서만 출현하였다. 이 중에서 C. carpio nudus는 이스라엘에서 1971년부터, M. salmoides는 미국에서 1973년부터 내수면 어업자원 조 성용으로 도입되어 방류된 어종이다. St. 23에서 채집된 H. olidus는 중산저수지, St. 25에서 채집된 P. fulvidraco 는 오가저수지에 어업자원 조성용으로 이식된 어종이다.
상류 수역에 주로 서식하는 M. oxycephalus는 달천강 의 상류인 St. 1-8에서는 출현하지 않아서 주목되었으 며, 다른 지역과는 달리 M. oxycephalus가 Z. temmincki 보다도 많이 출현한 것은 달천강의 최상류 지역이 조사 정점으로 많이 선정된 결과이다.
미꾸리과 중에서 I. koreensis (상대풍부도 3.41%)가 C. rotundicaudata (1.00%)보다 많이 출현하였다. 이는 북 한강 수계의 상류에서 C. rotundicaudata가 오히려 많 이 출현한(남, 1997a, b; 남 등, 1998b) 것과는 차이가 있 는 것이다.
채집된 어종 중에서 C. carpio nudus, R. notatus, H. labeo, A. gracilis, S. chankaensis tsuchigae, S. japonicus coreanus, 그리고 M. salmoides 등 7종은 달천강의 어류로 처음 기재되는 종이다(崔, 1977; 崔와 田, 1978; 田, 1990; 洪, 1991).
전체 출현종 46종 가운데 상대풍부도의 면에서 보아 우점종은 Z. platypus (30.47%), 아우점종은 M. oxycephalus (11.87%)였으며, Z. temmincki (8.29%), M. yaluensis (6.82%) 그리고 P. herzi (5.92%)도 많이 서식하였다. 그 러나 C. carpio nudus, R. uyekii, G. strigatus, S. chankaensis tsuchigae, M. longidorsalis, M. mizolepis, P. fulvidraco, L. ussuriensis, S. microdorsalis, H. olidus, M. salmoides는 1~3개체 (0.02~0.05%)만 출현하여 희소 종이었다. C. carpio, A. gracilis, S. gracilis majimae, C. lutheri, N. toni, S. asotus 그리고 S. scherzeri도 상대풍 부도 0.17% 이하로서 출현 개체 수가 적었다(Table 2).
달천강의 본류 수계와 각 지류 수계의 종조성은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류 수계의 상류부에서는 6과 20속 26종, 중류부에서는 8과 19속 22종, 하류부에서는 8과 24속 29종의 어종이 출현하였다. 본류 수계에서는 중하류성 어종의 출현율이 높고 종조성은 각 부분간에 비슷하였는데, 이것은 하천 전체의 규모가 크고 농업용 수의 확보를 위한 보의 구축, 하상의 정비 등으로 상류 부에도 흐름이 정체되고 서식환경이 단일화된 부분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류부 전체의 우점종은 Z. platypus이며, 본류부 상류에서는 Z. temmincki가 아우 점종으로 공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천강의 지류 수계 중에서 미원천은 2과 10속 12종, 화양천은 4과 10속 10종, 괴산천은 2과 11속 12종으로 서 출현 어종수가 아주 빈약하였다. 특히, 화양천은 달천 강의 다른 유역과는 달리 Z. platypus가 서식하지 않고 Z. temmincki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洪(1991) 과 남 등(1998a)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화양천이 유 폭은 좁으나 유량이 풍부하고 하상은 암반, 거력 그리고 왕자갈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류로서 Z. platypus보다 Z. temmincki의 서식에 더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지류 수계 중에서 쌍천은 7과 21속 26종, 음성천은 5 과 23속 28종, 그리고 석문동천은 7과 19속 20종이 출 현하여 어류상이 비교적 풍부하였다. 쌍천에는 M. oxy- cephalus, L. andersoni 등의 계류성 어류가 많았는데 이 는 유폭이 좁고 하상이 주로 거력, 왕자갈, 자갈로 구성 되고 유속이 빠른 하천이기 때문이다. 음성천은 다른 지 류와는 달리 계류성 어류의 출현은 적었으며, C. auratus, 납자루류, C. lutheri 등의 중하류성 어류가 많았는 데, 이는 하천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유속이 느리고 유량 이 많은 하천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석문 동천의 경우 계류성인 하천의 곳곳에 보를 설치하여 계 류성 및 중하류성 어종이 비슷하게 출현하고, Z. platypus와 Z. temmincki가 비슷한 비율로 공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유종
달천강 수계에서 출현한 어류 가운데 한국고유종은 Table 3과 같이 7과 14속 19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41.3 %를 차지하였다. 이는 위천(채 등, 1998)의 40%보다 다 소 높고, 섬강 상류의 41.4% (송 등, 1995)와 비슷한 비 율로 한반도의 평균적인 고유종의 빈도 22.5% (남, 1996) 보다 훨씬 높은 고유성을 나타내었다. 고유종 가운데는 잉어과가 7속 12종으로 전체 고유종의 63.2%나 차지하 였다.
고유종을 대상으로 상대풍부도를 산출한 결과는 M. yaluensis가 24.5%로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A. yamatsutae, C. splendidus, I. koreensis, 그리고 L. andersoni가 10.4~12.3%로서 많이 출현하였으며, R. uyekii, S. chankaensis tsuchigae, M. longidorsalis, 그리고 S. microdorsalis는 2~3개체(0.11~0.16%)가 출현하여 희소하였다.
4. 군집구조
각 조사지점의 종다양도, 균등도 및 우점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본류 수계인 St. 3, 5, 8, 15, 18, 29에서는 종다양도 0.812~1.126, 균등도 0.684~ 0.796, 우점도 0.110~0.262이었다. 달천강의 본류 중에 서는 본류의 상류인 St. 5에서 종다양도가 1.126로 가장 높았으며, St. 8에서 종다양도 0.812로 가장 낮았다. 각 지류 중에서는 쌍천의 중하류(St. 10, 12)와 음성천의 중 상류(St. 19)의 종다양도가 0.940~1.092으로 높았으며, 쌍천의 상류인 St. 9, 안민천의 상류인 St. 16, 석문동천 의 상류인 St. 21에서는 종다양도가 0.034~0.164로 아 주 낮고 군집의 단순도를 나타내는 우점도지수가 0.813 ~0.970으로 높았다. 이렇게 다양도가 낮고 우점도가 높 은 것은 이 지역이 상류 유역으로서 출현된 어종의 수 가 2~3종 뿐이며, 이들 어종 중에서 M. oxycephalus가 절대적으로 우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천강에서 확인된 어류의 전체 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 1.149, 균등도 0.691, 그리고 우점도 0.130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를 보면 한강 수계의 다른 지류인 가평천(남, 1997a)의 1.066, 홍천강 상류(楊등, 1991)의 1.163, 조종천(남, 1997b)의 1.280과 거의 비슷 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달천강이 앞의 하천들 과 마찬가지로 아직 자연성이 우수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어서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 다.
달천강의 각 조사 지점에서 채집 및 관찰된 결과로부 터 유사도를 구한 결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곳은 St. 16 과 21 사이(0.976)였으며, St. 2.와 28, St. 4와 7, St. 9와 16, 21, 23의 사이, St. 10과 12, 13의 사이, St. 11과 17, 22, 24, 26, 28의 사이, St. 16과 22, 30 등과 같은 산간 상 류 지점들 간에는 유사도가 0.811~0.976으로서 높은 유사도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본류 수계의 중하류 지 점들 간에는 0.7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나, 상류의 지점과 본류 수계의 지점들간에는 유사성이 비교적 낮 았다(Table 5).
적 요
1996년 4월부터 1998년 7월까지 남한강의 지류인 달 천강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10 과 31속 46종 또는 아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잉 어과 어류가 28종(60.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기름 종개과 어류가 6종(13.0%)이었다. 한국고유종은 7과 14 속 19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41.3%를 차지하였으며, 외 래 어종은 Cyprinus carpio nudus와 Micropterus salmoides였다.
출현종 중에서 우점종은 Zacco platypus (30.5%), 아우 점종은 Moroco oxycephalus (11.9%)였으며, Zacco temmincki, Microphysogobio yaluensis 그리고 Pungtungia herzi가 상대풍부도 5.9~8.3%로서 많이 서식하고 있었 다. 그러나 Rhodeus uyekii, Gnathopogon strigatu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Misgurnus mizolepis, Pseudobagrus fulvidraco, Leiocassis ussuriensis, Silurus microdorsalis, Hypomesus olidus, Micropterus salmoides는 1~3개체 만 출현하여 희소종이었다. 달천강에서 확인된 어류의 전체 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종다양도 1.149, 균등도 0.691, 그리고 우점도 0.130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