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최근 국내·외적으로 외래생물의 유입 사례는 점차 증 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Barton, 1997;Huxel, 1999;Beard and O’Neill, 2005;Crossland et al., 2008;Lee, 2010;Shine, 2010). 또한, 외래생물의 유입은 토착종과의 경쟁, 질병의 전파, 잡종에 의한 유전적인 오염 과 같은 생물학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제거나 확산을 억제 하기 위한 사회 혹은 경제적인 문제로 이어진다 (Pimentel, 2005;Lovell et al., 2006). 외래생물의 이동과 확산은 자연 적인 요인과 인위적인 요인으로 구분된다. 외래생물이 유 입된 환경에서 적응할 경우, 자연스럽게 주변으로 확산되 며, 이러한 자연적인 확산은 종분포모델링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SDM)과 같은 분석 방법을 통해 예측이 가 능하다 (Phillips and Dudík, 2008;Bombi et al., 2009;Koo et al., 2018). 반면, 인위적인 확산은 자연적인 확산보다 무 작위적으로 더 빠르게 그리고 더 먼 지역으로 나타나기 때 문에 예측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은 1970년대 애완 용으로 수입된 대표적인 외래생물이다 (Iverson, 1992;van Dijk et al., 2011). 붉은귀거북은 뛰어난 환경 적응력, 생존 율 그리고 긴 수명뿐만 아니라 토착종과의 경쟁과 잡종형 성으로 국내에서는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관리 대상 이 된 외래생물이다 (Lowe et al., 2000;Kim et al., 2014;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붉은귀거북은 최근에 유입된 다른 외래거북들과는 달리 국내 환경에 정착하였 으며, 자연적인 방법과 인위적인 방법 모두를 통한 이동과 확산이 예측된다 (Koo et al., 2017). 국내에서는 붉은귀거 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Jung, 2014;Jo et al., 2017;Oh et al., 2017), 국내에서의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Koo et al., 2017). 반면, 붉은 귀거북의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이동과 확산에 대한 연구 는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있는 붉은귀 거북의 자연생태계 내 이동 사례를 처음으로 보고함으로써 국내로 유입된 외래생물의 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 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재료 및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5월 31일 12시 55분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을 지나는 도로 위 (35°47ʹ11.90ʺN, 128°50ʹ 40.29ʺE)에서 발견된 붉은귀거북이다. 붉은귀거북 성별은 발톱의 길이나 꼬리의 길이, 항문의 위치를 통해 구분하였 다 (Jung, 2014). 붉은귀거북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휴대 용 줄자를 이용하였으며, 머리부터 꼬리까지 등껍질의 직 선길이 (straight carapace length)를 기록하였다.
붉은귀거북의 일일 이동거리는 500 m 내외로 알려져 있 다 (Koo et al., 2012). 따라서, 붉은귀거북의 최초 출발 지점 을 파악하기 위해 외래거북이 발견된 지점에서 500 m 반 경 내에서 확인되는 새못저수지 (경북 경산시 남산면 경리 789)와 사림천 (경북 경산시 경리 956-110)을 잠재 서식지 이자 현지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잠재 서식지에 대한 현지 조사는 2018년 7월 15일과 8월 7일 총 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자 2인이 대상 저수지와 하천을 도보로 이동하면서 거북류가 일광욕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수변 인공구조물이나 수몰나무, 바위, 수초 등의 환경을 조사하 였다. 개체가 발견될 경우 디지털카메라 (Cybershot DSCHX400V, Sony)를 이용하여 촬영 후 종을 동정하였다.
붉은귀거북이 발견된 지점과 예상되는 이동 거리는 휴대 용 GPS (Oregon 550, Garmin, USA)와 Google map을 사용 하여 기록하였다. 붉은귀거북이 발견된 당시의 기후를 파 악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온, 풍향, 풍속, 습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https://data.kma.go.kr/).
결 과
붉은귀거북은 등껍질 길이 약 18.0 cm의 성체 암컷이었 다 (Fig. 1). 발견된 지점의 환경은 폭 24 m의 왕복 4차선의 도로였으며, 도로 변에는 밭농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Fig. 2A). 현지 조사 결과, 새못저수지는 붉은귀거북 발견지점 에서 직선 거리로 약 324 m가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 었다. 새못저수지에서는 붉은귀거북 아성체 2개체 (15 cm 미만)와 15 cm 이상의 성체 4개체가 관찰되었다. 반면, 붉 은귀거북이 발견된 지점에서 약 250 m가 떨어진 곳에 위 치한 사림천에서는 붉은귀거북 등 다른 외래거북은 발견 되지 않았다. 붉은귀거북이 발견된 새못 저수지의 면적은 약 30,770 m2였으며, 저수지의 폭과 길이는 각각 112 m와 290 m였다. 새못저수지는 농업용으로 관리되고 있었으며, 저수지 주변에는 과수원과 밭농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붉은귀거북의 이동 방향으로 약 468 m 지점에 하천이 위 치하고 있었다 (Fig. 2C). 발견 지점에서 약 282 m의 거리 에도 동일한 하천이 흐르고 있었다 (Fig. 2D). 따라서, 근접 한 수환경과의 거리를 근거로 예상되는 붉은귀거북의 이 동거리는 최소 606 m에서 최대 792 m로 나타났다. 붉은귀 거북의 발견 당시 기온은 24.3°C였으며, 풍향, 풍속, 습도 는 각각 57.5 (degree), 1.7 m s-1, 38.1%로 나타났다.
고 찰
국내에서 발견되는 외래거북의 분포는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oo et al., 2017). 특히, 붉은귀거북을 제외한 다른 외래거북류들 의 분포는 인위적인 요인이 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던 반면, 붉은귀거북의 분포는 인위적인 요인과 자연적인 요 인이 복합적 작용했을 것으로 보았다 (Koo et al., 2017). 그 럼에도 불구하고, 붉은귀거북의 이동과 확산이 직접적으로 확인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었으며, 자연 이동 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첫 사례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하는 붉은귀거북의 자연 이동은 외래거북의 자연 확산 가능성 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근거 자료가 된다.
붉은귀거북의 이동 거리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다루어진 바가 있다 (Ryan et al., 2008;Koo et al., 2012). Ryan et al. (2008)의 연구에서는 붉은귀거북 암컷들의 평 균이동거리 (mean movement)가 300 m 이하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기록된 붉은귀거북의 이동거리는 500 m 내·외 로 알려져 있다 (Koo et al., 2012).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붉 은귀거북의 이동거리는 앞선 두 연구에서 확인한 이동거 리와 유사하거나 더 긴 거리를 이동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저수지나 하천 환경에서의 수행된 과거 두 연 구와 비교하여, 육상 환경이었던 본 연구에서의 추정한 이 동거리가 더 긴 것을 고려하면, 붉은귀거북은 예상보다 훨 씬 더 먼 거리를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붉은귀거북과 같은 외래생물의 이동거리를 예측함에 있어서 기존의 자 료보다 더 넓은 범위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기록한 붉은귀거북의 자연적인 이동은 국 내 첫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외래거북을 포함한 외래생물 이 어떻게 주변으로 이동하고 확산되는지를 보여주는 중 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적 요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애완동물 중 하나이며, 가장 흔하게 거래된 종 으로 국내에서는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어 관리 대상이 된 외래생물이다. 현재까지 붉은귀거북의 자연적 혹은 인 위적인 이동과 확산에 대한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경북 경산시 남산면 경리에서 발견된 붉은귀거북 암컷 1개체에 대한 이동 경로 및 이동 가능 경로를 추정하 였다. 발견된 암컷의 이동 경로를 바탕으로 예상 목적지를 추정한 결과, 약 282 m와 468 m 지점에 붉은귀거북의 서식 이 가능한 하천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까운 수계까지의 예상 이동거리는 최소 606 m에서 최대 792 m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붉은귀거북의 자연 이동은 외래거북 의 자연 확산 가능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유입되어 있는 외래생물 에 대한 관리 및 대책 마련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저자기여도 구교성은 연구계획부터 현지조사, 결과분석, 논문 작성등 전반적으로 기여하였으며, 백혜준, 김수환, 장 환진, 김대인은 연구계획과 현지조사에 관여하였고, 성하 철은 연구계획부터 전 과정에 기여하였습니다.
이해관계 본 논문에 대한 저자들 간의 어떤 이해관계 및 갈등이 없습니다.
연구비 본 연구는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결과를 일부 포함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 술개발사업 (RE201807039)에 지원을 받았습니다.